본문 바로가기

약제정보

치매치료제(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ChEI)

반응형

요약

치매치료제는 치매의 진행속도를 늦추며 치매 환자의 인지능력 개선과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 대부분의 치매치료제는 알츠하이머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와 NMDA수용체 길항제가 있다. 현재까지의 치매치료제로 치매의 진행을 막을 수는 없지만 진행을 늦출 수 있다.

 

개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치매치료제는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cholinesterase Inhibitor, ChEI)가 대부분이고, 그 외에 NMDA 수용체 길항제(N-methyl-D-aspartate receptor antagonist)가 있다. 이들 치매치료제는 질환의 완치가 아닌 증상을 완화시키는 정도의 치료제라는 한계가 있기에 약을 복용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인지기능 저하가 점차 심해지고 다른 이상행동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병의 진행을 늦출 수가 있고, 일상생활에서 보호자의 지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말기 치매의 시기를 늦출 수 있다. 

 

약리작용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매치료제는 치매 환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은 뇌에서 기억, 인지기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치매 환자의 경우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세포가 파괴되면서 인지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는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콜린에스테라제(cholinesterase)라는 효소를 억제하여 아세틸콜린이 뇌에서 정상적으로 유지되도록 해주어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며, 치매 치료에 있어 일차 선택 약물로 경등도에서 중등도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치료에 사용된다. NMDA 수용체는 우리 뇌에서 기억력을 유지하고 학습에 관여하는데, 흥분성 아미노산인 글루타메이트(glutamate)에 의해 과도하게 자극될 경우 뇌신경 세포가 손상된다. NMDA 수용체 길항제는 글루타메이트의 과도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뇌신경 세포의 파괴를 줄여 뇌의 기억력을 증진시키고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며, 중등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종류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는 도네페질(donepezil),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갈란타민(galantamine) 3가지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알츠하이머병 약물요법에서 가장 먼저 선택되는 약제로 경증에서 중등도의 알츠하이머에 효과가 있다. 약물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정제, 캡슐제뿐만 아니라 입에서 녹여 복용하는 형태의 구강용해필름, 구강붕해정, 피부에 붙이는 패취 형태까지 다양한 제형으로 개발되어 있다. NMDA 수용체 길항제는 메만틴(memantine) 한가지로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를 사용해도 뚜렷한 증상의 개선이 없는 경우, 또는 중등도 이상의 알츠하이머병에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와 병용한다.

 

구분 성분명 상품명 예 대상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도네페질 아리셉트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리바스티그민 엑셀론 경등~중등도 알치하이머 치매
갈란타민 레미닐
NMDA 수용체 길항제 메만틴 에빅사 중등도~중증 알치하이머 치매

 

부작용

치매치료제 투여 시 발생 가능한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그 외 상세한 정보는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별 허가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의사, 약사 등 전문가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의 흔한 부작용으로 식욕저하, 오심, 구토, 설사, 두통, 체중감소, 어지럼증, 불면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기타 약물 부작용은 위산 분비 과다로 인한 궤양 및 천식의 악화 등이 있으나, 대부분의 이상 반응은 일시적으로 발생했다가, 시간이 경과 하면서 곧 소실된다.

 

• NMDA 수용체 길항제인 메만틴은 두통, 어지러움, 혼돈, 변비, 졸음, 고혈압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출처 : 약학정보원 - 약물백과

반응형

'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급여비용명세서 작성요령  (0) 2023.03.23
[급여기준]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0) 2023.01.26
[급여기준] 메만틴(Memantine)  (0) 2023.01.26
[급여기준] 도네페질(Donepezil)  (0) 2023.01.26
면역억제제  (0)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