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면역억제제는 왜 복용할까요?
우리 몸은 외부의 이물질에 대하여 공격함으로써 우리 몸을 방어하는데 면역시스템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장기이식 후 이식된 장기를 외부 이물질로 인식하여 공격함으로 거부반응을 나타내는데 이를 예방하고 이식된 장기가 원활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용합니다.
2. 면역억제제는 양날의 칼!
면역억제제는 적정량보다 적으면 거부반응이 일어나 이식된 장기의 기능이 소실될 수 있고, 반대로 많으면 감염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면역억제를 복용하면서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약물의 혈중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약물 용량을 조절하면서 치료를 지속해야 합니다.
3. 왜 여러 가지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할까요?
이식 후 관리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기전으로 작용하는 2-3가지 다른 면역억제제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병용요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 가지 약제만으로 차단할 수 없는 다양한 면역 과정을 차단하고, 각각 약제의 투여량을 줄여 부작용을 줄이고 약효는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칼시뉴린 억제제 계열의 약제들 중 한가지(사이클로스포린(cyclosprine), 타크로리무스(tacrolimus))와 마이코페노릭산(Mycophenolic acid), 스테로이드를 함께 사용하는 병용 요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4. 면역억제제 복용시 주의해야 할 점은?
1)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용량을 잊지 않고 잘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복용을 잊어버렸을 때 생각나는 즉시 복용하고, 2회분을 한꺼번에 복용해서는 안됩니다.
3) 면역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며, 고열이나 기침, 인후통과 같은 호흡기 감염 증상이나 자주 소변을 보거나 배뇨시 불편감, 잔뇨감과 같은 감염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진을 방문하여 상의해야 합니다.
4) 정기적으로 혈압과 혈당을 체크하여 고혈압과 당뇨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5) 식이, 운동과 같은 전반적인 관리를 통해 비만이나 고지혈증 발생에 유의해야 합니다.
6) 의사와 상의 없이 예방접종을 하면 안됩니다.
6. 면역억제제 복용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감염, 위장관 부작용, 신경계부작용(두통, 손떨림), 잇몸비대, 다모증, 둥근얼굴, 체중증가 등
7. 감염 예방을 위한 생활속의 방법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감염은 이식 후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합병증입니다. 세균 감염증, 거대세포 바이러스 질환, 주폐포자충 폐렴, 침습성 진균 감염증, 결핵 등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장이식 환자는 요로감염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심장과 폐이식 환자는 흉곽 내 감염과 폐렴의 위험, 간과 췌장이식 환자는 공여자에 의한 복부 내 감염 위험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요법과 함께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1) 접촉에 의한 감염 예방
• 음식물 조리 전과 식사 전, 외출 후, 상처 소독 후, 애완 동물 접촉 후 손 씻기.
• 정원을 가꾼 후, 콧물, 가래, 진물을 만진 후, 침구류, 대변기, 소변기 만진 후 손 씻기.
• 애완동물, 분비물, 대/소변기 등은 이식 후 6개월 이내까지 접촉 자제.
• 흙, 퇴비, 비료는 이식 후 1년 이내까지 접촉 자제(불가피한 경우 마스크, 장갑 착용).
• 이식환자의 방에 식물, 화분을 두지 않음. 애완동물 키우지 않기.
2) 호흡기 감염 예방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불가피할 경우 마스크 착용.
• 사람이 많은 곳(쇼핑몰, 지하철, 찜질방 등) 피하기.
• 공사장, 먼지 많은 곳 피하기.
3) 소화기계를 통한 감염 예방
• 물은 끓여 마시기.
• 칼과 도마 씻기(특히 날생선, 날고기를 조리한 도마).
• 날생선, 날고기를 조리하는 칼과 그 외 식재료를 조리하는 칼 구분 사용.
• 남은 음식 먹지 않기.
* 면역억제요법의 종류 *
1. 유도요법 : 이식 수술 직후의 급성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2. 유지요법 : 이식된 장기의 평생 기능 유지에 필요한 방법
3. 급성 거부반응 발생 시 치료요법
허가사항에서 유도요법, 유지요법을 구분하여 보는 것이 좋다.
참고문헌
1. 국가건강정보포털-거부반응과 면역억제제
2. 한국임상약학회 약물치료학 제3개정
3. 각 제품 허가사항
4. 전남대학교병원 홈페이지
'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급여비용명세서 작성요령 (0) | 2023.03.23 |
---|---|
[급여기준]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0) | 2023.01.26 |
[급여기준] 메만틴(Memantine) (0) | 2023.01.26 |
[급여기준] 도네페질(Donepezil) (0) | 2023.01.26 |
치매치료제(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ChEI)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