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9)
[급여기준]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Rivastigmine 제제 (엑셀론캡슐, 엑셀론패취 등) 세부인정기준 및 방법 - 각 약제별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급여를 인정 - 동 인정기준 외에는 약 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 가. 알츠하이머 치매 1) 투여대상 가) 캡슐제 (1), (2)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알츠하이머 형태(뇌혈관 질환을 동반한 알츠하이머 포함)의 경증(Mild)ㆍ중등도(Moderate) 치매증상 (1) 간이정신진단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 10∼26 (2) 치매척도검사 (가) CDR(Clinical Dementia Rating) 1∼2 또는 (나) GDS(Global Deterioration Scale) stage 3∼5 나) 패취제 (1), (2) 조건을 동시에 충..
[급여기준] 메만틴(Memantine) Memantine 경구제 ( 에빅사액 등, 에빅사정 등) 세부인정기준 및 방법 -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투여시 요양급여 인정 - 동 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 가. 투여대상 1), 2)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알츠하이머 형태(뇌혈관 질환을 동반한 알츠하이머 포함)의 중등도(Moderate)·중증(Severe) 치매증상 1) 간이정신진단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 20이하 2) 치매척도검사 가) CDR(Clinical Dementia Rating) 2∼3 또는 나) GDS(Global Deterioration Scale) stage 4∼7 나. 평가방법 6-12개월 간격으로 재평가하여 계속투여 여부를 결정하며, 재평가에서 MMSE의 경우에는 20점을 초과하여도 지..
[급여기준] 도네페질(Donepezil) 도네페질 경구제(품명: 아리셉트정 등), 패취제(품명: 도네리온패취 등) 세부인정기준 및 방법 - 각 약제별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 -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 가. 투여대상 1) 5mg, 10mg 경구제 및 87.5mg, 175mg 패취제 가), 나)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알츠하이머 형태(뇌혈관 질환을 동반한 알츠하이머 포함)의 경증(mild), 중등도(moderate), 중증(severe) 치매증상 가) 간이정신진단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 26점 이하 * MMSE란? : 단 시간 내에 간단하게 노인의 인지기능과 치매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검사도구(10분내외) 나) 치매척도검사 (1) CDR(Clinical Dem..
[python] 2. Jupyter Notebook 사용법 * 기록용입니다. Jupyter Notebook 사용법 1. Jupyter Notebook 화면구성 - Jupyter Notebook 은 cell과 mark down으로 나누어져 있다. - shift+enter 누르면 코드가 실행된다. - mark down은 샵의 갯수에 따라 제목을 나타낼 수 있다. - kernel 이랑 file기능을 자주 쓴다. - file - close and halt 를 써서 프로그램 종료한다. - Jupyter Notebook은 본체가 따로 있다. 따라서 완전히 끄기 위해서는 anaconda prompt에서 종료해야 한다. 2. 단축키(esc를 누른상태에서) m: 현재 cell을 markdown cell로 바꿉니다. D+D: 현재 cell을 삭제합니다. o: 현재의 cell의 실..
[python] 1. 파이썬은 왜 배우는가? 파이썬은 왜 배우는가? 1. 파이썬이란? -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프로그램을 만드는 문법, 단어의 나열 등 - 데이터 분석의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파이썬을 사용한다. 2. 파이썬의 특징 - line by line으로 실행이 가능하다. - class 단위로 실행이 가능하다. - data type을 일일히 지정하지 않아도 실행이 가능하다. - tab을 가지고 코드를 구분한다 - text를 다루기 편하다. - PyPI라는 저장소를 운영해 수만가지의 파이썬 패키지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pip install "package name"으로 다운로드 (R이랑 비슷) * 코드는 명령들을 나열한 것, 파이썬의 문법을 따른다. 3. 컴퓨터에 대한 이해 - 컴퓨터의 내부구조를 파악하고 있어야..
면역억제제 1. 면역억제제는 왜 복용할까요? 우리 몸은 외부의 이물질에 대하여 공격함으로써 우리 몸을 방어하는데 면역시스템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장기이식 후 이식된 장기를 외부 이물질로 인식하여 공격함으로 거부반응을 나타내는데 이를 예방하고 이식된 장기가 원활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용합니다. 2. 면역억제제는 양날의 칼! 면역억제제는 적정량보다 적으면 거부반응이 일어나 이식된 장기의 기능이 소실될 수 있고, 반대로 많으면 감염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면역억제를 복용하면서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약물의 혈중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약물 용량을 조절하면서 치료를 지속해야 합니다. 3. 왜 여러 가지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할까요? 이식 후 관리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서로 ..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정의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활막이라는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활막이 존재하는 모든 관절, 즉 움직일 수 있는 거의 모든 관절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진행되는 만성 질환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연령층은 30대 전후의 여성입니다. 그러나 남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고, 소아부터 노인에 이르는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1%가 류마티스 관절염을 겪고 있습니다. 매년 류마티스 관절염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지리라 추정됩니다. 원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현대 의학의 발전에 힘입어 어느 정도 윤곽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전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의 소인..
크론병(Crohn's disease) 정의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 전체에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장의 모든 층에 염증이 침범할 수 있습니다. 주로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인 회맹부에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고, 그 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원인 크론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홍역바이러스 감염, 소화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과잉 면역 반응이 원인으로 여겨집니다. 젊은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하며, 15세~35세 사이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가족 내에 크론병 환자가 여러 명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질환은 유전적 영향이나 환경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크론병과 흡연은 밀접한 관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