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9)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Nested Case-control Study 논문 작성을 위해 검토중인 일부 분석방법 정리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그 동안 주제가 크게 바뀌진 않았지만, 교수님의 제안을 우선 반영해서 분석 방법을 변경했다.임시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생각했던 분석방법은 아니지만 새롭게 개념을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필요성이 있어서 코호트연구방법, 환자-대조군 연구방법을 공부하고 진행하려고 한다. 가장 대표적인 비교효과 연구방법론으로 코호트연구와 환자-대조군 연구를 들 수 있다.연구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질병이 없는 사람들을 population으로 잡고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의 노출유무로 집단을 구성, 질병발생까지 추적하는 것이 '코호트 연구' 이다. 반면에 현재 질병의 유무로 집단을 구분한 뒤 과거 노출 여부를 조사하는 방식이다. 1. 코호트연구(Coh.. 카이제곱검정, 동질성 검정, 독립성 검정 졸업에 앞서 이것만은 꼭 기억하고 가야할 개념 정리용, 잊지말자:) * 민감도(sensitivity) - 실제 질병이 있는 환자가 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될 확률* 특이도(Specificity) - 실제 질병이 없는 환자가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정될 확률* 양성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 - 양성인 환자가 실제 질병을 가지고 있을 확률cf) 임상예측도 : 음성인 환자가 실제 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을 확률 * 기대빈도(기댓값) 질병Y질병NTotal시험약ABA+B기존약CDC+DTotalA+CB+DA+B+C+D - 질병이 있으면서 시험약을 배정받은 집단의 기댓값 = {(A+B)*(A+C)}/A+B+C+D- 기대빈도(expected frequency)는 전체 빈도 n에 대하여.. 석사 학위논문 준비 - 논문 검색 23년 하반기, 나의 석사 4학기 논문 준비가 시작되었다...!! 22년 1학기를 시작한 때가 엊그제 같은데 그동안 생각만하던 논문학기라니…😶😶 지도교수님이 누가될 지 매우 궁금해하던 여름방학을 지나고 본격적으로 지도교수님 배정이 되었고, 같이 지도받는 선생님들과 함께 첫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첫날이라 수업이라고 할 만한 내용은 그다지 없었지만 이제 본격적으로 논문 작업 준비에 들어가기 앞서 유의해야 할 점과 한 학기 동안 준비해 나가야 할 사항에 대해서 듣는 자리가 되었다. 타겟 저널 검색하기(주제 탐색)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기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는 것이다. 같은 저널은 형식과 글자수가 비슷하다고 하셨는데 요즘 일하다 보니 자주 보는 논문들도 다 저널에 등재된 것이고 구성같은게 다 비슷했기 ..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의 분류 류마티스 관절염은 아직 완치가 가능한 질환으로 여겨지지는 않으나, 질병 초기에 발견해 적절한 약물 치료를 통해 관절의 변형을 예방하고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질병의 활성도(activity)를 주기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현재 사용 중인 항류마티스제의 약효가 불충분한 경우, 병용 요법을 시행하는 등 치료 방향을 수정해야 한다. 면역 이상과 질병 활성 조절에 사용되는 항류마티스제(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DMARD)가 대표적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되며, 염증 억제를 위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가 사용될 수 있다. DMARD는 크게 methotrexate와 .. ADSP 요약 - 2. 데이터 분석 기획(1) 분석기획에서의 데이터 사이언스 역량 - 분석역량: 문제영역에 대한 전문성/ 수학과 통계학적 지식 - 균형잡힌 시각, 데이터/프로그래밍 기술역량 분석대상과 방법 대상 known 대상 Unknown 분석방법 known 최적화 통찰 분석방법 Unknown 솔루션 발견 분석기획방안 목표 시점별 분석기획 방안 - 과제중심적 접근 : Speed & Test / Quick & Win / 문제해결이 중심 - 장기적인 마스터플랜 : Accuracy & Deploy / Long Term View / 문제정의가 중심 분석기획시 고려사항 - 가용데이터 : 분석의 기본이 되는 데이터 확보 및 파악 - 적절한 USE case : 유사분석 시나리오, 솔루션을 최대한 활용 - 장애요소들에 대한 사전계획 수립 : 이행저해요소 관리, .. SAS분석코드 - 당뇨병 신환자의 뇌졸중 발생 관계 분석 1. 당뇨병 환자 정의 2. 추출데이터 확인 - 기준연도별 빈도수 확인 - 연도별 상병코드별 환자수, 진료건수 3. 당뇨 신환자 추출 4. 뇌졸중 발생 INDEX DATE 추출 5. 당뇨병 신환자의 INDEX_DT 이후 뇌졸중 발생 환자 요양급여비용명세서 작성요령 진료내역별 사항 - 의과명세서 3항 투약료 및 4항 주사료(약국의 경우 01항) - 의약품의 경우 1회에 투여한 량(소수점 이하 셋째자리에서 4사5입)을 기재 1) 정제 - 작성예시: 마그밀정을 1회 2T씩 하루 3회, 5일간 처방 코 드 단가 1회 투약량 일투 총투 A11800371 18 2 3 5 2) 연고제 등 외용제 - 작성예시1: 더모베이트연고 10g을 처방 (1) 처방내역: 1회 투약량에 총 투약량(10g)을 기재하고, 1일 투여횟수 및 총투약일수에는 모두 1로 기재 코 드 1회 투약량 일투 총투 A00400421 10 1 1 (2) 진료(조제)내역: 처방내역 작성과 동일 코 드 단가 1회 투약량 일투 총투 A00400421 88 10 1 1 - 작성예시2: 스피리바흡인용캡슐 1팩(30캡슐/1.. 코호트 연구 코호트연구란? - 질병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의심되는 특성에 노출된 정보를 수집 - 시간경과에 따라 특정질병의 발생을 추적, 관찰 - 요인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노출된 집단의 질병 발생률을 비교 연구종류 - 단면적 연구 - 후향적 코호트 연구(주로 이용 할 것) 환자-대조군 연구 집단간 요인 노출의 차이만 알 수 있음 연구기간을 줄이기 위해 과거 자료를 활용 - 전향적 코호트 연구 원인의 노출 정도에 따른 질병 차이확인 원인-결과 명확 연구종료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됨(연구비/연구대상자 사망문제) 연구의 설계 및 연구모집단 선정 - 환경적 노출과 질병발생 사이의 관련성 파악 추적조사 합 발생률 질병발생 질병발생x 노출 a b a+b a/(a+b) 비노출 c d c+d c(c+d) - 연구모집단 선정 ..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