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에 앞서 이것만은 꼭 기억하고 가야할 개념 정리용, 잊지말자:)
* 민감도(sensitivity)
- 실제 질병이 있는 환자가 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될 확률
* 특이도(Specificity)
- 실제 질병이 없는 환자가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정될 확률
* 양성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
- 양성인 환자가 실제 질병을 가지고 있을 확률
cf) 임상예측도 : 음성인 환자가 실제 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을 확률
* 기대빈도(기댓값)
질병Y | 질병N | Total | |
시험약 | A | B | A+B |
기존약 | C | D | C+D |
Total | A+C | B+D | A+B+C+D |
- 질병이 있으면서 시험약을 배정받은 집단의 기댓값 = {(A+B)*(A+C)}/A+B+C+D
- 기대빈도(expected frequency)는 전체 빈도 n에 대하여 행과 열의 합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각 교차되는 셀에 기대될 수 있는 기대값을 뜻한다.
*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
- 관측빈도와 기대빈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통계량으로 사용
(1)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는가
(2)두 변인이 서로 상관이 없고 독립적인가
- 관측값과 기댓값의 차이가 많이 날수록 귀무가설을 기각할 확률이 높아짐
*동질성검정
- 표본의 적절성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
- H0 : 시험약과 기존약의 질병 발생률이 같다.
* 독립성검정
- 여러 범주형 변수를 대상으로 각 범주들이 서로 독립적인지를 판단하는 검정 방법
- 각 셀의 기대빈도가 5 이상이어야 함, 미만일 경우 fisher’s exact test로 진행
- H0 : 시험약G과 기존약G이 독립이다(연관성이 없다)
- 자유도 : (R-1)x(C-1), R:행의 개수, C:열의 개수
'대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Nested Case-control Study (0) | 2023.12.30 |
---|---|
석사 학위논문 준비 - 논문 검색 (0) | 2023.09.12 |
코호트 연구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