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통계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Nested Case-control Study 논문 작성을 위해 검토중인 일부 분석방법 정리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그 동안 주제가 크게 바뀌진 않았지만, 교수님의 제안을 우선 반영해서 분석 방법을 변경했다.임시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생각했던 분석방법은 아니지만 새롭게 개념을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필요성이 있어서 코호트연구방법, 환자-대조군 연구방법을 공부하고 진행하려고 한다. 가장 대표적인 비교효과 연구방법론으로 코호트연구와 환자-대조군 연구를 들 수 있다.연구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질병이 없는 사람들을 population으로 잡고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의 노출유무로 집단을 구성, 질병발생까지 추적하는 것이 '코호트 연구' 이다. 반면에 현재 질병의 유무로 집단을 구분한 뒤 과거 노출 여부를 조사하는 방식이다. 1. 코호트연구(Coh.. 카이제곱검정, 동질성 검정, 독립성 검정 졸업에 앞서 이것만은 꼭 기억하고 가야할 개념 정리용, 잊지말자:) * 민감도(sensitivity) - 실제 질병이 있는 환자가 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될 확률* 특이도(Specificity) - 실제 질병이 없는 환자가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정될 확률* 양성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 - 양성인 환자가 실제 질병을 가지고 있을 확률cf) 임상예측도 : 음성인 환자가 실제 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을 확률 * 기대빈도(기댓값) 질병Y질병NTotal시험약ABA+B기존약CDC+DTotalA+CB+DA+B+C+D - 질병이 있으면서 시험약을 배정받은 집단의 기댓값 = {(A+B)*(A+C)}/A+B+C+D- 기대빈도(expected frequency)는 전체 빈도 n에 대하여.. SAS분석코드 - 당뇨병 신환자의 뇌졸중 발생 관계 분석 1. 당뇨병 환자 정의 2. 추출데이터 확인 - 기준연도별 빈도수 확인 - 연도별 상병코드별 환자수, 진료건수 3. 당뇨 신환자 추출 4. 뇌졸중 발생 INDEX DATE 추출 5. 당뇨병 신환자의 INDEX_DT 이후 뇌졸중 발생 환자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