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집합
- 집합의 연산자인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을 모두 지원
- {1, 2, 3} : 집합 / {'a':1, 'b':2} : 사전
- 집합은 원소의 중복이 없다. 따라서 원소의 종류를 나타내기 좋다.
- 집합은 원소의 순서도 존재하지 않아 indexing이 불가능하다.
- 안에 원소가 있느냐 없느냐만 알 수 있다.
1) 교집합
& 를 사용 ex. s1 + s2
2) 합집합
+가 아닌 | 를 사용한다.
3) 차집합
ex. s1-s2
4) 집합 원소의 중복이 사라지는 경우
- 리스트의 경우 각 리스트를 집합으로 변경해준다 set() 함수 사용
5) 집합 관련 함수
- 원소추가하기 .add()
- 공집합은 set()
** 순서 상관없이 결과는 정렬되서 나온다.
- 집합에 여러원소 추가하기 .update( {넣을 원소} )
** list 나 tuple도 가능하다.
- 원소 제거하기 .remove()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판다스(Pandas) (0) | 2023.02.07 |
---|---|
[Python] 웹 환경의 이해 (0) | 2023.02.07 |
[Python] 5. 데이터 다루기 - List, Tuple (0) | 2023.02.03 |
[Python] 4. 데이터 다루기 - 텍스트 (0) | 2023.02.03 |
[Python] Anaconda3, Jupyter Notebook 실행하기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