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Python] 4. 데이터 다루기 - 텍스트

반응형

**기록용 입니다.

2. 문자열

- 문자열데이터 : 문자의 나열

- 파이썬에서 다루는 문자열의 크기도 제한이 없음

- 전세계적으로 웹에서 사용되는 국제 표준은 UTF-8(Universal code character set Transformation Format - 8-bit)

 

1) 문자열 만들기

- ' 와 '' 두가지의 기호를 통해 나타낸다.

- 특성을 알고 싶으면 type(문자)를 입력 -> str은 string

 

- \n는 특수문자(escape code)라고 불리우는 새로운 규칙

- 줄 바꿈(enter)을 보기위해서는 print()함수를 사용

- \t는 4칸 띄어쓰기

 

2)  문자열의 연산

- 가운데 빈칸을 넣고 싶을때는 '빈칸' 을 덧셈에 넣는다.

- 같은 문자열을 길게 반복하고 싶을때는 문자열*n 연산으로 만들기

- 문자열의 길이를 출력하는 함수는 len()

 

3)  문자열 formatting

- print 함수를 이용하여 특정 format을 지정

  • print format  ex) print("%s는 %d개 있다." % ("포도", 4))
  • str.format  ex) print("{}는 {}개 있다.".format("감귤",5))
  • f-string(**)

 

4) 문자열 관련 함수

  • 대소문자 바꾸기 .upper(), .lower()
  • 문자공백지우기 .strip()

 

  • 문자열 삽입 .join() // 하이픈'-'으로 문자들을 연결하라는 의미

 

  • 문자열 나누기 .split() : 괄호 안에 아무것도 안쓰면 빈칸 기준으로 자르지만 다른 문자를 넣으면 그 문자 기준으로 자름

 

  • 문자열 바꾸기 .replace() : 문장전체에 있는 빈칸을 다 없애고 싶을때도 유용하게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