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Nested Case-control Study 논문 작성을 위해 검토중인 일부 분석방법 정리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그 동안 주제가 크게 바뀌진 않았지만, 교수님의 제안을 우선 반영해서 분석 방법을 변경했다.임시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생각했던 분석방법은 아니지만 새롭게 개념을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필요성이 있어서 코호트연구방법, 환자-대조군 연구방법을 공부하고 진행하려고 한다. 가장 대표적인 비교효과 연구방법론으로 코호트연구와 환자-대조군 연구를 들 수 있다.연구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질병이 없는 사람들을 population으로 잡고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의 노출유무로 집단을 구성, 질병발생까지 추적하는 것이 '코호트 연구' 이다. 반면에 현재 질병의 유무로 집단을 구분한 뒤 과거 노출 여부를 조사하는 방식이다. 1. 코호트연구(Coh.. 코호트 연구 코호트연구란? - 질병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의심되는 특성에 노출된 정보를 수집 - 시간경과에 따라 특정질병의 발생을 추적, 관찰 - 요인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노출된 집단의 질병 발생률을 비교 연구종류 - 단면적 연구 - 후향적 코호트 연구(주로 이용 할 것) 환자-대조군 연구 집단간 요인 노출의 차이만 알 수 있음 연구기간을 줄이기 위해 과거 자료를 활용 - 전향적 코호트 연구 원인의 노출 정도에 따른 질병 차이확인 원인-결과 명확 연구종료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됨(연구비/연구대상자 사망문제) 연구의 설계 및 연구모집단 선정 - 환경적 노출과 질병발생 사이의 관련성 파악 추적조사 합 발생률 질병발생 질병발생x 노출 a b a+b a/(a+b) 비노출 c d c+d c(c+d) - 연구모집단 선정 .. 이전 1 다음